본문 바로가기

주식정보

주식 투자 용어 PER PBR ROE

반응형

주식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재무제표를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.

그런데 재무제표를 처음본다면, 어려운 용어들이 많습니다.

PER, PBR, ROE 가 그 대표적인 예로, 이 용어들은 재무제표 전체를 읽을 수 없어도, 주식투자를 하기 위해서 꼭 알아두어야 하는 용어들입니다.

따라서 주식투자를 하기 위해 알아둬야 할 용어들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◎ 자산, 자본, 부채

- 자산 = 자본 + 부채

- 자본 = 회사가 가지고 있는 순수 금액, 순자산이라고도 함.

- 부채 = 말 그대로 빌린 돈

- 자산과 자본은 회사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들 현금, 주식, 부동산, 생산설비 등을 지금 당장 현금화했을 때 금액적인 수치

 

 

 

◎ 당기순이익

-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얻은 모든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순수익

 

 

 

◎ 부채비율 (재무건전성의 판단기준)

- 계산방법 : 부채비율 = 부채/자본 x 100(%)

- 낮을수록 재무건전성이 좋은 상태라고 볼 수 있음.

- 부채비율이 100% 이하인 경우에는 재무건전성이 좋은 상태라고 볼 수 있음.

 

 

 

◎ PER (Price Earnings Ratio)

- 주가 수익비율을 뜻한다.

- 계산방법 : 주가/주당순이익

- 기업의 상대적 수익 가치를 나타낸다.

- 저평가와 고평가를 나눌 때 가장 우선적으로 보는 수치이다.
- 낮을수록 저평가, 높을수록 고평가

- 같은 섹터의 기업을 비교할 때 어떤 기업이 상대적으로 비싼지 싼지 알기 쉽다. 
- 하지만 다른 섹터의 기업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PER 수치 비교는 적합하지 않다. 왜냐하면 섹터가 다르면, 그 기업의 주가에 반영되어 있는 모멘텀이 다르기 때문이다.

예를 들면 보험사의 모멘텀과 전기차 배터리사의 모멘텀은 전기차 배터리 회사가 더 높을수 밖에없다. 보험사의 성장성은 극히 낮다고 예상되는 가운데, 전기차배터리 회사는 미래에 더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되므로, 더 높은 모멘텀을 받기 때문이다.

 

 

 

◎ PBR (Price Book - value Ratio)

- 주가 순자산 비율을 뜻한다.

- 계산방법 : 주가/주당순자산 (순자산 = 자본을 뜻한다.)

- 회사가 가진 모든 것들을 현금화했을 때 시가총액보다 많다면 PBR이 1 미만이고, 시가총액보다 적으면 PBR이 1 이상이다. 
 1) PBR > 1 - 지금 당장 현금화를 하면 시가총액보다 적음

 2) PBR = 1 - 지금당장 현금화를 하면 시가총액과 같음

 3) PBR < 1 - 지금당장 현금화를 하면 시가총액보다도 많음

- 보험, 은행, 금융지주, 증권과 같은 금융주들은 대부분 PBR이 1 미만이다.

- 반면에 성장 가능성이 높은 회사(고평가)나 급성장하고 있는 회사(모아둔 돈이 없음, 기술개발에 큰돈 투자), 엔터,게임과 같은 인적자원이 많은 회사들은 PBR수치가 높다.

- 성장가능성이 높은 회사들은 고평가 때문이고, 급성장하고 있는 회사들은 모아둔 돈이 없을뿐더러 기술개발에 큰돈을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며, 인적자원이 많은 회사들은 기업의 가치가 현금화할 수 있는 수단보다는 인적자원에 많이 투자되어 있기 때문이다.

 

 

 

◎ ROE (Return On Equity : 자기 자본 이익률)

- 자기 자본 이익률을 뜻한다.

- 자기자본으로 인한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이다.

- 계산방법 = 당기순이익/평균 자기자본 × 100

- ROE가 높다는 것은 효율적으로 돈을 벌었다는 의미로 회사의 사업성이 좋다는 뜻이다.

- ROE가 마이너스 거나 은행이자 수준이라면 회사의 수익성이 적자거나 상당히 낮다는 의미이며, 회사의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는 뜻이다.

- ROE가 10 이상이라면 수익성이 꽤 좋다는 의미이다. 따라서 ROE가 수년 동안 꾸준히 10에 가깝거나 그 이상되는 종목을 매수하는 게 좋다. 하지만, 10 이하라도 회사의 미래 수익성이 좋아질 수 있다면 투자할만하다.

 

 

 

 

요약 : PER, PBR 은 낮을수록 기업이 저평가되어있다는 뜻이고, ROE는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뜻입니다.

 

반응형